"정부는 야생멧돼지 저감대책 하루빨리 마련하라"

posted Oct 11,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는 야생멧돼지 저감대책 하루빨리 마련하라"

축단협, 환경부 ASF 차단 핵심인 야생멧돼지 저감대책에 적극 임해야
지난 3일 이후 잠잠했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가 지난 9일 완충지인 경기도 연천에서 14번째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ASF와 관련한 농가의 불안감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특히 현재 감염 원인과 경로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지난 3일 비무장지대 내 야생맷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돼 주요 감염경로로 의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야생맷돼지를 관리 담당하는 환경부에선 대책마련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은 지난 10일 성명서를 밝표하고 야생맷돼지 개체수 조절 및 지역별 관리대책을 만들 것을 촉구하며 대책마련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환경부 측에 ASF 확산과 관련한 모든 책임이 환경부에 있음을 주장하고 나섰다.

지금까지 발생 원인 조차 밝혀내지 못했던 ASF에 있어 이번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가 검출된 사건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특히, 국내 멧돼지 서식밀도는 5.2마리/100ha로 높아 멧돼지의 직접적인 바이러스 전파, 멧돼지간 순환감염, 폐사체 매개를 통한 농장의 전파가 매우 우려된다.

축단협 측은 “ASF에 걸린 멧돼지가 비무장지대를 벗어나 전국을 활보하고 다닌다면, 우리나라 전 구역이 발병가능성을 가지는 만큼 선제적인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체코의 경우,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에 과감한 정책으로 야생멧돼지의 개체 조절을 위해 발병지역 주변을 집중 사냥지역으로 정했고, 폐사체 확인에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골든타임인 지금, 환경부의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 “그간 축단협은 국회와 환경부에 ASF 발병 전부터 방지를 위한 정책을 수차례 건의해 왔다. 이에, 여야당 ASF 특위도 만들어졌으며, 특위를 통해 환경부에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해 왔지만, 아직까지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야생동물 관리에 대한 일부 동물단체의 비판을 받을 수 있지만, 현재 중요한 것은 ASF가 국가적 재난인 만큼, 야생멧돼지 저감 대책과 지역별 관리에 대해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축단협 관계자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대한민국의 한돈산업을 책임지는 농가들, 철통방역을 위해 24시간 고생하는 공무원들, 관련 산업 관계자들, 그리고 국민 모두 하나되어 ASF를 막아내야 한다”며 “ASF가 남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과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인력과 예산을 대폭 투입하고, 예찰 활동을 더욱 강화하며, 야생멧돼지에 대한 개체수 조절 및 지역별 관리대책을 만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국농업신문 최정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