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축우 뉴스 (12/30 ~ 1/5)

by 발정탐지기 posted Jan 06,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간추린 축우 뉴스 (12/30 ~ 1/5)
파우스에서 해당기간 도움이 될 만한 기사를 요약, 도움드리고자 기획한 서비스입니다.
제목을 복사하셔서 포털사이트(네이버, 다음 등)에 검색하시면 기사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본출처 : 파우스 블로그

1. 간추린 축우 뉴스 (12/30 ~ 1/5)

1/5
▶ 퇴비부숙도 검사 의무화, 무엇이 문제인가
▶ <2020 신년 특집>배합사료산업 전망
사상 최대 2천만톤 시대 유지 여부 가축질병이 관건

1/4
▶ “2020년 축산업 시장 전망 어둡다
▶ 세계 소 등급판장 운영체계는
각국 육량·육질 기본골격으로 가공방법·숙성기간 반영키도

1/3
▶ 청년 축산인들의 꿈이 ‘미래 동력’
축산업, 타업종 대비 후계인력 우위…지속가능한 산업으로 토대 조성이 ‘관건’
▶ 한우 부산물 적체 심각…“소포장 판매 필요”
1년 새 평균 도매값 ‘반토막’ 1인 가구 등 소비 늘려야

1/2
▶ 쇠고기 투플 물량 급증…최고등급 위엄 흔들리나
새 쇠고기등급제 시행 한달, 마블링 기준 완화 영향 원플과 가격차 줄어
아직까지 큰 변동 없지만 등급간 가격 역전 땐, 마블링 경쟁 내몰릴 수도 ‘사육기간 단축’ 취지 무색
▶ 농식품부, 과학적 분석방법 동원 ‘농축산물 부정유통 차단’

1/1
▶ 2020년 축종별 전망-① 한우
사육마릿수 꾸준히 증가 전망...가격 하락 선제 대응 필요
▶ 해결되지 않는 수급불안, 대안을 찾아라 - 축산부문
한우 사육마릿수 320만마리 육박, 관세 제로화에 따른 수입 공세 거세질듯

12/31
▶ 축산농가 “환경오염 주범으로 낙인 찍으면 안돼”
‘축산환경부담금’ 연구용역 논란, 축산업은 필수 식량산업
채찍질만 하지 말고 순기능 고려해 상생 모색해야
▶ 농식품부, 과학적 분석방법 동원 ‘농축산물 부정유통 차단’

12/30
▶ 매몰지 의무 사전 확보…축산업 허가·등록요건 강화
가축전염병 발생위험 높은 지역, 가축사육 제한, 영업정지·허가취소 사유 확대, 과태료 상향
▶ 농협안심한우, 2020년 산지조달비율 50%까지 늘린다

2. 소의 질병 및 예방법(출처 : 농사로)
◆ 설사병
새로 태어난 송아지가 설사병에 걸릴 경우 폐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원인은 초유 관리, 위생, 축사, 우군 편성, 환기, 스트레스 및 영양부족 등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사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바이러스, 세균 및 원충을 포함하며
대부분은 주변 환경에서 장기간 생존하는데 오염된 환경, 분변에 오염된 사료나 물 섭취 시, 감염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서입니다.
원충성 질병 중에서도 콕시듐증은 소에서 자주 나타나며
송아지가 분뇨에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감염 포자를 섭취함으로써 시작됩니다.

설사병에 걸리면 보통 엉덩이가 젖어 있으며,
송아지가 침울하거나 식욕 부진, 체중 감소, 건조한 구강 점막, 함몰된 눈과 피부 탄력 등으로 나타납니다.
설사로 인한 탈수 치료로 수액이나 전해질 등을 공급하는 것이
설사병에 걸린 송아지를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콕시듐에 의한 설사병의 치료는 항콕시듐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폐렴
폐렴은 송아지 폐의 염증과 손상을 초래하며, 어린 송아지에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대개 4~5주령에 발생하나 더 어리거나 더 큰 송아지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은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습하고 차가운 공기, 외풍(샛바람), 추운 기상조건에 노출되거나 급격한 온도 변화는 폐렴의 위험 요인들 입니다.
폐렴에 걸리면 경과에 따라 체온 상승, 사료 섭취량 감소, 혼수(기면상태), 호흡수 증가를 나타냅니다.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데, 수의사의 처방에 따른 항생제, 소염제, 진해거담제 등의 치료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 버짐(링웜, 백선)
우사내 환기가 잘 되지 않고 바닥이 습하면 버짐 발생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곰팡이 감염에 의해 일반적으로 머리와 목에 원형의 탈모 및 피부 각화가 일어납니다.
곰팡이는 감염된 송아지 또는 오염된 환경에서의 직접 접촉으로 전염됩니다.
일반적으로 4∼16주내 치유되는데 햇빛 노출을 늘리고 요오드화합물 등의 소독제로 소독해주면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축사를 청결히 하고 건조 및 환기가 잘되도록 하며,
밀사가 되지 않도록 하고 비타민 A를 포함한 적절한 영양공급과 피부의 청결 등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축산 스마트팜 ICT 기자재 전문기업
㈜파우스 FAUU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