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규모 농가 적자 못 면해
“암소 감축 및 송아지 입식 조절 등 적극적인 사육마릿수 조절이 필요하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한우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 방향을 두고 한우 번식농가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우 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수급 및 가격 불안에 대비해 한우농가들에게 암소 감축 및 송아지 입식 조절 등 자율적인 수급조절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번식농가들이 반발하는 이유는 정부가 직접 나서서 송아지 입식을 사실상 통제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우 번식농가인 A씨는 “지금 송아지를 입식하면 2년 후 망할 수 있으니 (비육농가들에게) 입식하지 말라는 것 아니냐. 그럼 이미 생산된 송아지는 어떻게 하느냐? 번식농가는 망해도 되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번식농가도 “송아지 한 마리를 만들기 위해 번식농가들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번식농가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부의 한우 수급 방향성은 번식농가 입장에선 화가 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중소규모의 한우 번식농가들은 여전히 적자 구조인 상황에서 정부의 방침으로 인해 송아지 판매에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상존하고 있다. 실제 통계청의 2019년 축산물생산비 자료에 따르면 한우 번식우 마리당 수익성은 30만3000원이지만 번식우를 10두 미만 소유한 농장은 마리당 97만2000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10두 이상 29두 미만 농장도 마리당 37만4000원의 손해가 발생했다.
이에 한우농가들은 한우 번식농가와 비육농가 간의 상생을 통해 앞으로 다가올 위기를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한우수급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A씨는 “번식농가 없이 비육농가가 있을 수 없다”며 “번식농가와 비육농가가 함께 갈 수 있는 길을 찾지 않은 채 송아지 입식을 하지 말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조재성 농식품부 서기관은 “최근 한우가격이 상승한 것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일시적인 착시현상”이라며 “하지만 한우가격이 높게 형성되자 농가들이 500만원에 달하는 송아지를 구매해 입식하는 등 과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재성 서기관은 또 “정부 입장에선 한우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향후 가격이 하락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해 농가들에게 이 같은 위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준 것”이라며 “번식농가들은 송아지 생산조절을, 비육농가들은 입식 자제 등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