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양
2017.02.02 11:21

생산성 향상 비육기술

조회 수 31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산성 향상 비육기술

 

1. 적정 비육기간과 출하시기 결정

 

거세한우 비육시 육질 향상을 위해서는 비육기간이 중요하다. 육질 등급판정의 주요 척도인 근내지방도는 생후 24개월령까지 꾸준히 증가하므로 거세우는 최소한 생후 24개월령까지는 비육하여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들어 비육기간이 점점 연장되어 생후 30개월령 이상까지도 비육하는 농가들도 늘어나는 추세이나 보편적으로 28개월령 전후에서 체중 650kg 이상일 때 출하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비육기간의 연장은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육질등급, 연도, 다즙성, 풍미 등이 개선되나, 필요 이상으로 비육기간을 연장하면 등지방두께와 같은 일부 형질은 오히려 불리해질 수도 있다.

<표1-1>에서와 같이 출하월령이 증가할수록 도체중, 배최장근(등심) 단면적과 육질을 좌우하는 근내지방도는 계속 증가하였지만, 등지방두께 역시 증가하여 육량등급에서 C등급의 출현율은 높아진다.

 

<표1-1> 거세한우 출하월령별 도체특성

구 분

출 하 월 령

26

27

28

29

30

생체중(kg)

619

639

710

724

738

도체중(kg)

385

397

454

460

479

등심단면적(㎠)

87.3

87.5

91.3

96.7

100.6

등지방두께(㎜)

8.2

8.8

12.6

11.2

13.3

육량등급(A:B:C,두)

8:7:0

8:7:0

3:9:3

5:8:2

4:8:3

근내지방도

5.9

5.7

5.4

6.4

6.7

육색

4.9

4.9

4.9

5.0

5.0

지방색

3.0

2.7

3.0

3.0

3.0

육질등급(1+:1:2,두)

10:4:1

9:4:2

6:6:3

13:2:0

13:2:0

1등급이상출현율(%)

93.3

86.7

80.0

100

100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세 비육우의 일당증체량은 대체로 비거세우에 비하여 15~20% 정도 떨어지며, 사료요구율 역시 거세비육우가 더 높다.

 

<표 1-2> 한우 비거세우와 거세우의 비육효과

구 분

비거세우(A)

거세우(B)

비율(B/A)

개시시 체중(㎏)

154.7

148.1

 

종료시 체중(㎏)

550.7

551.3

 

일당증체량(㎏)

0.96

0.78

81

1㎏증체당 배합사료량(㎏)

7.30

9.07

124

도체율(%)

61.9

63.1

102

거래정육률(%)

70.4

60.8

86

지방률(%)

12.7

20.3

160

육 질

 

 

 

다즙성(6점만점)

4.3

5.0

116

연도(〃)

3.6

4.6

128

전단력(㎏/㎠)

9.4

6.2

66

 

그러나 고기의 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전단력에서 비거세우의 9.4㎏/㎠에 비하여 거세우는 6.2㎏/㎠로 고기가 아주 연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거세를 하므로써 근섬유의 직경이 가늘어지고 근내지방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과 향미 등에서도 비거세우에 비하여 거세우의 고기는 월등히 질이 좋아져 거세를 하므로 육질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체율과 정육률은 거세우나 비거세우 모두 비슷하였으나 거세우가 지방축적이 더 많아 거래 정육률은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거세한우 담근먹이 급여

 

거세비육우에 대한 양질 조사료(담근먹이, 건초 등)의 급여가 산육 및 육질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조사료로 담근먹이, 건초, 볏짚을 급여하면서 비육한 결과, 볏짚을 조사료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담근먹이나 건초를 이용했을 때, 일당 증체량이 높고 육질을 좌우하는 근내지방도는 생후 21개월령이나 24개월령에서 볏짚구에 비하여 양질조사료 급여구가 월등히 높았으나 27개월령까지 장기 비육시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도체등급과 지육단가에서도 양질조사료를 비육우에 사용하여 높은 등급과 가격을 받을 수 있었다.

거세 한우를 이용하여 고급육 쇠고기 생산시 담근먹이의 급여효과는 <표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수수 담근먹이를 급여하는 것이 볏짚이나 다른 담근먹이를 급여하는 것보다 발육속도가 빠르고, 소요되는 농후사료도 가장 적게 소요되었다. 도체의 육질을 살펴보면 육질등급 판정시 가장 중요한 요인인 근내지방도가 볏짚이나 어떤 담근먹이를 급여하여도 4.2~4.8로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나 지방색에 있어 담근먹이류 등이 황색 및 연지방이 발생하여 호맥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담근먹이를 섭취한 소들이 육질등급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비육후기(450㎏ 이상)에는 담근먹이 급여를 중단하고 건초류를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3> 거세한우 비육시 담근먹이 급여효과

구 분

볏 짚

담근먹이

옥수수

호맥

I.R.G

개시시 체중(㎏)

200.8

198.5

200.0

196.0

종료시 체중(㎏)

535.8

560.0

547.8

540.1

일당 증체량(㎏)

0.70

0.75

0.72

0.72

1㎏증체당 농후사료소요량(㎏)

5.9

5.6

5.8

5.6

도체율(%)

61.3

61.6

61.1

61.1

육질등급(1:2:3)

5:0:0

5:0:0

2:3:0

1:2:1

근내지방도

4.6

4.8

4.2

4.5

지방도

4.2

5.6

5.6

6.8

육량등급(A:B:C)

0:5;0

0:5:0

0:5:0

0:3:1

※ I.R.G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임

 

 

1) 보리급여 효과

 

<표 1-4> 보리와 배합사료 일반성분 비교 (단위 : %)

구 분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DCP

TDN

보 리

12.3

11.0

2.0

4.5

2.6

7.1

74.4

비육후기사료

13.0

11.0

3.1

3.1

4.0

7.3

73.0

※ 보리의 사료가치는 비육후기 사료와 비슷함

 

<표 1-5> 보리급여 수준별 발육 및 육질 특성

구 분

보리배합수준(육성기:비육전기:비육후기), %

0:0:40

0:0:60

0:20:40

0:20:60

개시시체중(㎏)

99.4

100.1

99.0

99.2

종료시체중(㎏)

591.5

614.6

609.3

606.2

일당증체량(㎏)

0.82

0.86

0.85

0.85

1㎏증체당

 

 

 

 

농후사료량(㎏)

8.6

8.2

8.3

8.3

도체율(%)

61.4

59.7

59.5

59.6

거래정육률(%)

70.3

70.1

72.8

69.8

체지방(%)

17.6

18.3

15.1

20.1

배최장근단면적(㎠)

80.5

87.8

82.3

85.2

등지방(㎝)

0.9

1.1

0.6

0.9

근내지방도

3.8

3.2

2.8

3.6

육 색

4.8

3.8

4.2

3.8

지방색

3.5

3.4

3.0

3.0

전단력(㎏/㎠)

7.6

7.4

7.1

6.8

육량등급(A:B:C)

0:4:0

0:3:2

0:4:0

0:5:0

육질등급(1:2:3)

1:3:0

2:3:0

0:4:0

4:1:0

 

한우 비육시 보리급여가 육질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은 0.85㎏ 내외로 비처리구와 비슷하였으며, 사료효율 역시 8.3㎏ 내외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육질에서는 보리를 첨가함으로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지방색에서 개선효과가 뚜렷하였다.

 

2) 보리총체 담근먹이 이용

거세 한우 비육우의 출하체중 증대를 위하여 양질 조사료로 옥수수 담근먹이나 보리총체 담근먹이를 조사료로 급여시 출하체중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비육후기 보리 급여는 지방색을 개선하고 경지방을 생산하게 되어 비육후기 사료로 보리를 이용하면 육질개선에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산 곡실용 보리는 가격이 높아 사료로 이용하기에는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리를 재배하여 황숙기에 담근먹이로 제조 이용시의 효과를 시험한 결과 <표 1-6>에서와 같이 보리총체 담근먹이의 영양소 함량은 볏짚보다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가소화양분총량(TDN)이 약 64%로 밀기울의 83% 수준의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다.

 

 

<표 1-6> 보리총체 담근먹이의 영양분 함량(건물기준, %)

구 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TDN

지수

볏 짚

4.20

0.98

31.88

16.39

42.38

55

보리총체담근먹이

7.52

2.57

25.08

5.55

63.89

83

옥수수담근먹이

8.20

2.72

19.96

5.59

66.84

87

밀 기 울

16.29

4.48

9.43

5.33

76.95

100

 

조사료로 보리총체 담근먹이 급여구는 볏짚급여구 보다 발육이 24%, 옥수수 담근먹이는 27% 더 높았으며, 1㎏ 증체에 소요되는 배합사료량은 보리총체 담근먹이를 급여함으로써 농후사료를 16%, 옥수수 담근먹이 급여구는 15% 절감되었다. 뿐만 아니라 출하체중은 24% 증대되었고, 육질 1등급 출현율은 각각 7%, 20%, 육량 B등급이상 출현율은 각각 11%, 16% 개선되었으며, 보리 총체담근먹이 급여는 증체량이 항상되고 배합사료 소요량이 절감되므로 마리당 월간 소득이 볏짚 급여구에 비하여 70%, 옥수수 담근먹이는 82% 더 높았다.

 

<표 1-7> 보리총체 담근먹이 급여시 발육 및 사료이용성

구 분

볏짚급여구

보리총체담근먹이

옥수수담근먹이

개시시체중(㎏)

142

139

136

종료시체중(㎏)

533

621

630

일당증체량(㎏)

0.72

0.89

0.92

1㎏증체당 농후사료량(㎏)

8.1

6.8

6.9

도체율(%)

61.6

63.3

61.4

거래정육률(%)

52.9

51.2

18.4

체지방(%)

15.5

18.6

4.3

육질1등급이상 출현율(%)

62.5

66.7

75.0

육질B등급이상 출현율(%)

75.0

83.0

87.5

소 득 (지수)

100

170

182

 

 

3. 섬유질배합사료 급여효과

 

섬유질배합사료는 기존의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분리 급여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소의 기호성 혹은 개체의 강약에 따른 사료의 선택채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동시에 공급하여 반추위의 발효안정화를 유도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부존 사료자원의 이용이 가능하고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원료사료의 수급 및 가격변동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비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우 사육농가의 축산물 생산을 차별화하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육성기 거세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의 급여는 기존의 배합사료와 조사료의 분리급여에 비해 일당증체량을 9% 정도 개선시키며, 사료섭취량 역시 16% 증가시켰다. 반면에 비육후기에는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 모두 분리급여구에 비해 섬유질 배합사료구에서 다소 낮았다.

한편 거세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의 급여가 육량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분리급여구와 섬유질 배합사료구간의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근내지방도의 경우 분리급여구의 4.7에 비해 섬유질 배합사료구는 6.8로 45% 개선되었으며, 이로 인해 분리급여구와 섬유질 배합사료구의 1등급 이상 출현율은 각각 44% 및 89%로 섬유질 배합사료구의 1등급 이상 출현율이 2배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거세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의 급여는 증체와 육량에 대한 개선효과보다는 육질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1-8> 거세한우 비육시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 효과

구 분

분리급여구

섬유질 배합사료구

일당증체량(kg)

0.81

0.78

도체중(㎏)

386.9

382.2

배장근단면적(㎠)

86.7

86.9

등지방두께(㎜)

11.3

14.3

육량등급(A:B:C, %)

33:56:11

22:67:11

근내지방도

4.7

6.8

육질등급(1+:1:2:3, %)

22:22:56:0

78:11:11:0

1등급 이상 출현율(%)

44

89

 

◯ 사료효율 강화를 위한 비육기 배합사료의 가공 형태

비육전기와 후기의 배합사료 가공 형태에 따른 생산성과 육질개선 효과를 구명한 결과는 <표1-9>에서 보는 바와 같다. 비육전기 일당 증체량은 처리별 0.70~0.76㎏ 이었으며, 비육후기는 0.86~0.98㎏ 으로 비육전기에는 가루사료를, 비육후기에는 후레이크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발육이 좋았다. 한편 도체율은 비슷하였으나 거래정육률은 비육전기에 가루사료, 비육후기에는 후레이크 급여구가 54.1%로 높았고, 체지방은 비육전․후기 후레이크 사료 급여구가 제일 높았다. 근내지방도는 비육전․후기 가루사료 급여구가 높았으며, 소득에서는 비육전․후기 가루사료 급여보다 비육후기에 후레이크 사료를 급여시가 4~8% 높았다.

 

<표 1-9> 비육후기 배합사료 형태별 일당증체량과 도체성적

구 분

가 루→가 루

가 루→후레이크

후레이크→후레이크

일당 증체량(㎏)

 

 

 

- 비육전기

0.70

0.72

0.76

- 비육후기

0.86

0.98

0.91

1㎏증체당 농후사료량(㎏)

9.3

8.6

8.6

도체율(%)

62.5

63.3

62.9

거래정육률(%)

52.3

54.1

51.2

체지방(%)

24.3

24.0

25.5

근내지방도

3.62

3.44

2.98

등지방두께(㎝)

1.39

1.29

1.44

소 득 (지수)

100

108

104

 

 

4. 사료첨가제 급여효과

 

거세한우 비육후기 사료 섭취량 개선을 위하여 미량광물질 및 비타민 첨가급여에 의한 효과를 시험한 결과 일당증체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8~16% 더 증체 되었으며, 미량광물질과 비타민의 첨가 급여로 비육후기 사료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사료효율도 6~10% 개선되었다.

 

<표 1-10> 발육과 사료 이용성

구 분

무첨가

Z.O

C.P

Vit.E

개시시(18개월령)

394.7

398.8

399.6

398.5

종료시(21개월령)

536.5

560.1

564.9

552.5

일당증체량(지수)

0.79(100)

0.90(114)

0.92(116)

0.86(109)

1일 농후사료섭취량(㎏)

9.1

9.4

9.4

9.3

㎏증체당 사료량(지수)

11.5(100)

10.5(91)

10.3(90)

10.8(9.4)

체지방(%)

15.2

15.1

14.8

15.5

육질등급(1:2:3)

2:8:0

1:5:2

2:6:0

3:4:1

육량등급(A:B:C)

1:9:0

1:6:0

0:7:1

0:8:0

1) Z.O : Zinc-Oxide, 2) C.P : Chromium Picolinate

 

그러나 거세한우 비육후기에 미량광물질 또는 비타민E를 적량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서 첨가제에 따른 육질 개선과 경제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비육후기 질병 및 사고 예방요령

 

1) 출하적기와 방법

고품질 한우의 생산과 유통은 수입자유화의 파고를 헤쳐 나갈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고품질 한우의 생산은 브랜드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한우고기는 수입육과 가격경쟁력에서 상대적으로 뒤지기 때문에 품질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한우고기의 브랜드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고급육을 생산하려면 사육기간을 연장하여야 하는데, 장기비육에 따른 자금회전율이 낮아 농가들이 부담이 되고 있으나, 고급육생산으로 농가소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고급육 생산우의 출하시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근내지방도가 어느 정도 축적된 시기는 생후 24개월령 내외이다. 이는 근내지방도는 생후 10개월령 내외부터 24개월령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완만한 축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비거세의 경우는 출하체중이 500~600kg인데 반하여, 거세우는 24개월령 이상 사육으로 출하체중이 600kg 이상에서 출하하고 있다. 출하적기는 사육자의 기술수준, 사료비 등의 경영비, 시장가격의 형성동향 및 출하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출하대상우의 체중과 비육정도를 감안하여 도매시장에 상장시켜 도체의 상태와 시장여건에 따른 것인지 또는 첨단장비(초음파 측정장치 등)를 이용한 방법으로 육질이 낮다고 판단이 되면 상인에게 생체중 단가를 적용하여 처분할 것인지 고려하여 소득 면에서 유리한 방법으로 출하하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소값이 하락하면 출하체중이 낮아지고 상승하면 출하체중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가격이 출하에 따른 수익성을 결정하는 가장 큰 변수이기 때문이다.

 

2) 출하시 주의사항

 

비육이 완성된 소를 출하시 항생제, 비육촉진제 등 휴약기간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군사할 경우 가급적 동일한 월령 및 체중의 우군은 공동출하하고 불가피하게 선발 출하시에는 증체가 불량한 개체부터 출하하는 것이 좋다. 자체 브랜드화하여 시범판매점에서 판매될 경우 또는 계통출하를 통해 공판장에서 경매할 경우 비육이 완료된 출하우는 출하당일 사료는 줄여주고, 도축장에 도착하면 도축 전에 일정시간을 안정시키는 것이 좋다. 출하시 차량적재, 수송시 과속, 급회전, 급출발 등을 피하고, 가능하면 전문적으로 소를 운반하는 사람에게 전담시켜 출하에 따른 도축전 소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표 1-11> 출하 및 수송방법에 따른 농가별 발생률

구 분

조사두수

(두)

분리사육

(%)

출하 및 수송방법(%)

계통출하

밑소구입

출하월령

수송밀도

(두/톤)

개체분리 수송

암적색육

다발농가

1,448

21.0

55.6

31.3

19.5

2.0

50.0

육질상위

농가

2,566

50.0

91.7

0

21.0

1.8

88.9

 

 

고품질 쇠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특별한 애정으로 사육하고 출하에서 도축까지 환경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축 취급이 중요하다.

 

3) 축사형태별 육질개선 효과 및 경제성

수소 육성비육우의 비육후기 축사 형태별 생산성 및 육질개선 효과 시험 결과, <표 1-12>에서와 같이 증체량에서는 방사식 우사보다 계류식 우사에서 비육시키는 것이 약 18% 정도 적게 증체되었으며, 근내지방도는 계류식 우사가 24% 정도 더 개선되었다. 평균 도체단가는 계류식 우사 비육이 7% 더 높았으며, 경제성에서는 방사식 우사 비육은 발육이 높고, 계류식 우사는 육질이 개선되므로 축사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반면, 거세우와 암소비육에서는 비육후기 방사식과 계류식 우사 비육시 발육은 수소비육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육질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1-12> 축사 형태별 육질과 생산성

구 분

방사식 우사

계류식 우사

개시시 체중(㎏)

388.7

393.7

종료시 체중(㎏)

616.6

581.9

일당 증체량(㎏)

1.25(100)

1.03(82)

1㎏증체당 농후사료량

7.86

9.52

근내지방도

1.00(100)

1.24(124)

도체단가(원/㎏)

7,977(100)

8,559(107)

경제성/두/천원

3,023(100)

3,018(100)

 

<출처>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정기용연구사 033-330-0613 cky95@korea.kr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