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농식품부는 러시아의 곡물 수출중단 발표에 이어 일부 국가가 수출제한에 나설 경우 향후 밀, 콩, 옥수수 등 주요 국제곡물의 수출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겠지만 현 상황은 2007~2008년도와는 수급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급등현상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년전 애그플레이션은 주요 곡물의 공급 부족 및 유가급등에 따른 바이오에너지용 소비 등으로 모든 곡물이 일제히 상승했으나, 현 상황은 ‘09년 이후 금년 상반기 까지 밀을 비롯한 주요 곡물가격이 꾸준한 내림세를 보인 결과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자금이 곡물시장에 유입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또한, 2년전에는 과거 20~30% 수준에 머물던 주요 곡물의 재고율이 2년 연속 17%선으로 떨어진 상태였으나 지난해 이후 세계 밀 재고율은 28~29%선에 있었으며, 러시아 등의 생산량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26% 수준의 높은 재고율이 전망되어 공급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세계전체의 전년 이월재고량이 약 194백만 톤에 달하고, 세계 밀 수출 1위인 미국은 약 3천만 톤에 달하는 누적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있어 러시아 등 일부 국가의 생산량 감소 및 수출중단이 곧바로 세계전체의 공급량 부족으로 연결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은 불확실성이 다소 높은 시기이나 흑해연안국의 가뭄피해 정도 및 북반구 지역의 겨울 밀 파종면적에 대한 신뢰성 높은 데이터가 산출되는 9월이면, 곡물시장에 유입된 투기성자금의 유출과 함께 곡물가격의 고공행진이 한풀 꺾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사료업계는 이미 금년 도착 분의 구매가 마무리된 단계이고, 제분업계의 경우도 현재의 보유재고량 및 구매ㆍ운송ㆍ가공과정 등의 소요기간을 감안할 때 이번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4~5개월 뒤에나 국내원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하반기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세계 각지에서 이상기후 발생이 잦아지고 있고, 국제 곡물가격의 변동성이 높아 가격급등 현상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제 곡물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가격상승 국면 장기화에 대비한 대책을 관련업계와 협의를 거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