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육 생산 비육 기술
한우 고급육 생산기술은 수입육과 육질의 차별화를 위하여 개발된 사양기술로 육성비육에 비하여 비육기간이 길어진 것이 특징이다.
비육기간이 연장되면 육질은 향상되나 생산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우 고급육 생산은 생후 24개월이면 한우가 가지고 있는 육질 능력을 대부분 발휘한다고 한다. 그러나 비육농가에서는 28개월 이상 장기비육 농가도 증가하고 있어 2가지 고급육생산 비육우 사양관리 기술을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이 장기비육 위주에서 2013년도까지는 비육우 출하월령을 생후 26개월로 앞당기려는 정책 목표를 세우고 추진 중인 반면 우리나라도 생후 27개월을 목표로 비육기간을 단축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배합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곡물가격이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것을 예상하면 생산비절감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정책이라 생각된다.
1. 거세우 비육기술 프로그램
1) 24개월령-비육 프로그램
(1) 육성기와 비육기의 구분
소의 각 조직의 발육을 정리하면 12~13개월령 까지는 소화기관이나 내장, 뼈 등의 발육이 완료되며 근육의 발달도 대부분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 기간 동안 내장이나 뼈 그리고 근육을 충분히 발육시켜 우수한 비육밑소로 육성시켜야 한다. 생후 14개월령 이후 근육도 어느 정도 발달하면서 근육 내와 주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는 육질을 개선하는 기간이므로 비육기라 한다.
이와 같은 소의 성장생리를 감안할 때 비육우의 사양관리는 생후 12~13개월령을 경계로 육성기와 비육기로 사양관리를 달리하여야 한다.
<그림 1-1> 육성기와 비육기의 구분
(2) 사육단계별 영양소와 사료 급여기준
한우 고급육을 생산하려면 이제까지의 증체 위주의 비육에서 벗어나 앞에서 설명한 비육우의 각 조직이나 부위의 발육기를 감안하여 각 단계별로 적정한 영양소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유기는 고단백 고열량 사료인 인공유(어린송아지 사료) CP 18%, TDN 70%인 사료를 급여하고, 육성기에는 육성비육 사료 수준인 고단백 중열량 사료인 CP 15~16%, TDN 68~70%인 농후사료와 양질의 조사료를 다급하면서 충실하고 건강한 비육밑소로 육성시킨다.
비육기에는 저단백 고열량사료 CP 11~13%, TDN 71~73% 의 곡류위주 배합사료를 급여하면서 조사료의 급여량은 점차 줄여서 지속적인 증체와 육질향상을 도모한다.
<표 1-1> 성장단계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급여기준
구 분 (체중비%) |
육 성 기 |
비 육 기 |
|||
이유-6개월령 |
6-12개월 |
전기(13-18) |
후기(19-24) |
||
배합사료 |
급여량 |
2.0~2.5 |
1.2~1.5 |
1.7~1.8 |
1.8~2.0 |
TDN, CP |
70, 18~19 |
68~70, 14~16 |
71~72, 12~13 |
72~73, 11~12 |
|
조 사 료 |
생 초 |
3.8~5.0 |
6.0~8.0 |
3.0~5.0 |
- |
담근먹이 |
2.5~4.0 |
5.0~7.0 |
2.5~4.0 |
- |
|
목 건 초 |
1.2~1.2 |
1.2~1.5 |
1.0~1.2 |
0.5~0.8 |
|
볏 짚 |
0.8~1.0 |
1.1~1.5 |
0.7~1.1 |
0.4~0.6 |
조사료는 수급이 원활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비육후기에만 볏짚, 야건초, 목건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육우에 8,000kg 이상의 생초나 4,000㎏ 이상의 담근먹이를 사용시 도체지방의 색이 황색화될 우려가 있으며, 도체지방이 심한 황색일 경우는 도체등급에서 불리한 판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농후사료 급여량은 생초나, 야건초, 목건초, 담근먹이 등을 이용할 경우 볏짚에 비해 적게 급여할 수 있다.
(3) 비육 전기 사양관리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비육우의 증체속도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비육기의 사료급여 기준에 맞추고 비육후기에 농후사료를 자유채식 시키면서 합리적 사양관리를 하여야 한다.
비육전기는 비육밑소의 비육이 시작되는 단계이며 이 기간 동안은 비육우의 근육 발달과 지방의 축적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발육과 축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당한 영양소 공급에 필요한 배합사료와 조사료의 적절한 섭취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표 1-2> 비육전기 사료급여량과 목표 체중
구분 |
월령 |
사육 기간 |
흉위 (cm) |
체중 (kg) |
농후 사료 |
사료별 급여량 (kg) |
비고 |
|||
볏짚 |
생초 |
담 근 먹 이 |
야건초 |
|||||||
비육전기 (0.9~1.0kg) |
13 14 15 16 17 18 |
10 11 12 13 14 15 |
160
170
177
|
300 330 360 390 420 450 |
5.5 6.0 6.5 7.0 7.5 8.0 |
3.5 3.5 3.0 3.0 2.0 2.0 |
13.0 13.0 10.0 10.0 10.0 10.0 |
10.0 7.0 7.0 7.0 7.0 7.0 |
4.0 3.5 3.5 3.0 3.0 2.5 |
골격근육발달기 |
사료의 소요량(kg) 비육전기(13~18개월령) |
1,215 |
510 |
2,380 |
1,350 |
585 |
|
(4) 비육 후기 사양관리
비육후기는 주로 체지방 축적이 이루어지는 단계이고, 이 시기는 육질이 개선되고 비육이 마무리 되는 기간이다. 그러므로 지방축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에너지의 공급이 필요하다. 비육말기에는 근내지방도가 증가하는 시기로서 육질향상에 따라 생산성이 좌우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반면 시기 상으로 여러가지 대사성 질병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과 대응이 필요한 때이기도 하다.
<표 1-3> 비육후기 사료급여량과 목표 체중
구 분 |
월령 |
사육 기간 |
흉위 (cm) |
체중 (kg) |
농후 사료 |
사료별 급여량 (kg) |
비고 |
|||
볏짚 |
생초 |
담 근 먹 이 |
야건초 |
|||||||
비육후기 (0.7~0.8kg) |
19 20 21 22 23 24 |
16 17 18 19 20 21 |
188
195
200
|
470 490 510 530 550 570 |
8.5 9.0 9.0 9.0 9.5 10.0 |
2.0 2.0 2.0 2.0 2.0 2.0 |
- - - - - - |
- - - - - - |
2.5 2.5 2.5 2.5 2.5 2.5 |
육질 개선기 |
사료의 소요량 (kg) 비육후기(19~24개월령) |
1650 |
360 |
- |
- |
450 |
|
2) 29개월령-비육 프로그램
(1) 거세우 24개월령 비육과 장기비육 프로그램의 차이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해 적용한 생후 24개월령 프로그램은 일본 화우의 고영양 사양방법에서 제시한 성장단계(3단계)를 모델로 하였다.
그러나 고급육 생산 29개월 비육 프로그램은 4단계의 사양체계를 전제로 하였다. 이와 같은 설정은 양질의 조사료를 육성기에 충분히 급여하고, 비육전기 동안은 양질의 건초를 볏짚으로 서서히 교체하는 완충기로 두면서 장기 및 뼈의 발달을 마무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지방이 발달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급격한 불가식지방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당증체량을 0.8-0.9㎏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거세 비육우의 산육생리적 특성은 山崎(1988)의 이론을 기초하였지만 비육단계는 생후 24개월령 이상의 장기비육에 적합한 방식으로 수정함으로서 비육중기인 17개월령~21개월령 사이에는 일당증체량이 최고에 이르도록 사양관리하고, 비육후기인 22개월령부터 출하시기까지는 배합사료 섭취량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표 1-4> 관행과 개선 성장단계 구분의 비교
(2) 29개월령 장기비육 프로그램 설명
가. 육성기
육성기는 이유후 생후 3~4개월령부터 11개월령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는 뼈, 내장, 제 1위 등 소화기관과 체성장이 활발할 때이다. 이때는 조단백질(CP) 함량이 14~15%이고,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0% 정도이면서 비타민․무기물이 풍부하게 함유된 육성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약 1.5~1.6%로 급여하며, 양질 조사료를 자유채식시킨다. 양질 조사료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시에는 볏짚을 급여하되 배합사료보다 먼저 급여하여 조사료 섭취량을 최대로 유도하여야 한다.
이 시기에 충분한 양의 조사료를 섭취하지 못하면 제 1위를 포함한 소화기관의 발달이 부진하여 비육기에 소화기 장애, 요석증 등과 같은 대사성 질병이 발생하기 쉽고, 비육후기에 사료섭취량이 증가하지 않아 증체가 둔화되고,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어려워 근내지방의 축적도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육성기에는 지나치게 비육되는 것을 막으면서 소화기관과 골격을 발달시켜 튼튼한 비육밑소로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배합사료는 제한급여 했는지, 조사료는 목표대로 먹었는지, 증체는 잘 되었는지, 환경관리는 잘 했는지, 소의 건강상태는 좋은지 등을 검토하여 목표에 미치지 못할 때에는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 개선하여야 한다.
<표 1-5> 장기비육 육성기 사양
월 령 구 분 |
6 |
7 |
8 |
9 |
10 |
11 |
|
목표체중(㎏) |
160 |
181 |
202 |
223 |
245 |
268 |
|
일당증체량(㎏/일) |
0.7 ~ 0.8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3.0 |
3.0 |
3.2 |
3.5 |
3.8 |
4.2 |
건 초 |
자 유 채 식 |
나. 비육전기
비육전기는 생후 12개월령부터 15개월령까지로 설정하였다. 이 시기는 조사료 위주로 육성된 비육밑소가 본격적인 근육성장을 하면서 체지방도 함께 증가하는 기간으로 일당증체량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 기간은 건초를 볏짚으로 교체하면서 지나친 불가식지방의 증가를 막고, 비육중기의 증체와 근내지방 증가를 준비하는 완충기의 의미가 있다. 또한 성장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성장인자인 IGF-1의 혈중농도가 가장 높고 흉폭과 흉심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시기에는 조단백질(CP) 13~14%,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0~71%인 배합사료를 체중의 1.6~1.7%로 서서히 증가시켜 급여한다.
<표 1-6> 장기비육 비육전기 사양
월 령 구 분 |
12 |
13 |
14 |
15 |
||
체 중 (㎏) |
292 |
316 |
341 |
367 |
||
일당증체량(㎏/일) |
0.8 ~ 0.9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4.7 |
5.2 |
6.0 |
6.8 |
|
조사료 |
건초 볏짚 |
1.6 2.1 |
1.0 2.1 |
1.0 2.1 |
- 2.2 |
다. 비육중기
비육중기는 생후 16개월령부터 21개월령까지로 설정하였다. 이 시기는 등심의 발달과 근내지방 축적이 가장 왕성하여 일당증체량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증체량을 너무 추구하여 과도하게 배합사료를 급여하게 되면 피하지방이 두꺼워지고 등심이 크지 못하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조단백질(CP) 12~13%, 가소화 양분총량(TDN)이 71~72%인 비육중기사료를 체중의 1.8%로 제한하여 급여한다. 비육중기가 끝나는 21개월령에 볏짚의 섭취량도 거의 최저수준에 도달한다.
이 시기는 근내지방 축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반면 조사료 섭취량 감소와 배합사료 섭취량 증가로 대사성질병인 요석증과 같은 질병이 나타날 우려가 있으므로 1개월 간격으로 염화암모늄 20g을 4일간 연속 투여한다. 또한 충분한 급수로 요석증을 예방하고, 발병시에는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잘 관찰하여야 한다.
<표 1-7> 장기비육 비육중기 사양
월 령 구 분 |
16 |
17 |
18 |
19 |
20 |
21 |
|
목표체중(㎏) |
395 |
425 |
455 |
483 |
510 |
536 |
|
일당증체량(㎏/일) |
0.9 ~ 1.0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7.5 |
8.0 |
8.4 |
8.6 |
9.0 |
9.3 |
볏 짚 |
2.0 |
1.9 |
1.9 |
1.9 |
1.7 |
1.4 |
라. 비육후기
비육후기는 생후 22개월령부터 출하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비육을 마무리하는 기간으로 근육 주위의 지방이 근육 내로 골고루 축적되어 육질이 개선되도록 고에너지(열량)사료로 조단백질 12%, 가소화양분총량이 72~73%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다.
특히 이 시기는 급여사료의 종류에 따라 육질이 달라지므로 조사료는 최소량(사료급여량의 10%)만 제한적으로 급여하고, 에너지함량이 많은 배합사료를 자유채식시켜 최대한 영양소섭취량을 많게 하여 체중을 최대한 늘려야 근내지방도가 향상되어 좋은 육질등급을 받을 수 있다.
육질개선을 위해 보리를 공급하거나, 배합사료를 최대한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사료급여 횟수를 늘려주고 적당한 운동 등의 적절한 사양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담근먹이나 청초를 급여하면 지방색이 황색으로 변하여 육질등급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건초나 볏짚을 급여하도록 한다.
<표 1-8> 장기비육 비육후기 사양
월 령 구 분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체 중 (㎏) |
560 |
582 |
604 |
625 |
644 |
663 |
682 |
700 |
|
일당증체량(㎏/일) |
0.8 ~ 0.6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자 유 급 여 |
|||||||
볏 짚 |
1.0 |
1.0 |
1.0 |
0.8 |
0.8 |
0.8 |
0.5 |
0.5 |
(3) 27개월령 장기비육 프로그램의 장단점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령별 한우 도체등급을 조사해본 결과 육량등급을 결정하는 도체중과 등심단면적은 출하연령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근내지방도는 29개월령까지 증가후 30개월령 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표 1-2>. 결론적으로 근내지방도의 가중치가 큰 현 등급제도에서는 등급을 높이기 위해서 29개월령 이상 비육을 하는 것은 성장생리학적 또는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없다. 특히 29개월령 이후에는 일당증체량이 0.5%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27개월의 출하월령은 29개월에 비해 도체성적이 저조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현 등급판정 시스템에서는 29개월령을 27개월로 감소하였을 때 육질등급의 감소와 전체등급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축된 비육기간에도 육질등급이 잘나오는 개체들이 존재함으로 검증된 부모의 능력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육종시스템과 사양시스템의 상호보완적인 정밀사양시스템 도입이 요구된다.
<그림 1-2> 출하 연령별 도체성적의 차이
※ 한우 거세우 버섯재배부산물 생균제 발효 급여 비육 효과(2016년도 영농활용자료)
○ 버섯재배부산물 활용 생균제 발효사료화 섬유질배합사료를 육성우, 비육우에 급여
* 육성기 6~11개월령, 비육전기 12~17, 비육중기 18~22, 비육후기 22~29
○ 성장단계별 사료급여
- 버섯재배부산물 TMR 사료 내 비율 : 비육전기 8.6%, 비육중기 8.9%, 비육후기 3.9%
- 조사료 비율 : 육성기 45%, 비육전기 25%, 비육중기 15%, 비육후기 9%
- 육성기 : 조단백질 14.5%, TDN 68~71%, 체중 2.5%
- 비육전기 : 조단백질 13.0%, TDN 71~73%, 체중 2.5%
- 비육중기 : 조단백질 12.0%, TDN 73~75%, 체중 2.0%
- 비육후기 : 조단백질 11.0%, TDN 76% 이상, 체중 2.5% 이상
<작성>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정기용 033-330-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