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농진청, 한우 유전체 유전능력 활용한 정밀사양기술 개발

개체 맞춤으로 육질(1+)등급 17.5%, 육량[A]등급 5.2% 향상

 

최근 정밀농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축산 분야에서도 빅데이터(거대자료)를 활용한 정밀 사육 기술이 나와 눈길을 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5년간의 연구 끝에 ‘한우 유전체 유전능력을 활용한 정밀 사양(기르기) 기술’을 개발했다. 유전체 유전능력(육종가)은 좋은 도체 성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잠재 능력으로,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육질등급 등 경제형질이 우수한 한우를 조기에 분류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한우 참조집단 2,600마리의 혈액을 채취해 1마리당 5만 개의 유전체를 확보하고, 도축한 뒤의 성적과 비교?분석해 우수한 육질을 만들 수 있는 ‘육질형 유전체’ 42,000개, 고기 양을 늘릴 수 있는 ‘성장형 유전체’ 40,000개를 선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우 160마리를 ‘육질 유전능력’이 높은 집단과 ‘성장 유전능력’이 높은 집단으로 분류한 뒤, 고?저 영양 사료를 먹여 시험 사육했다.

30개월령에 도축한 결과, 기존 방법에 비해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육질형 선발집단이 17.5% 향상됐고, 육량 A등급 출현율은 성장형 선발집단이 5.2% 향상됐다.

 

유전정보를 이용해 육질형으로 분류한 경우에는 조수입 7.5% 향상으로 1마리당 62만원의 소득이, 성장형으로 분류한 경우에 조수입 3.7% 향상으로 1마리당 30만원의 소득이 증가했다.

현재 대부분의 한우 농가는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고급육 사양프로그램으로 30개월 이상 사육해 출하한다. 때문에 도축 전까지는 낮은 도체 성적을 가진 개체를 구별할 수 없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육성 초기에 유전능력을 예측할 수 있고, 맞춤형 사료를 먹임으로써 육질형은 더 좋은 고급육으로, 성장형은 비육기간 단축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기술은 특허출원을 준비 중이며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을 통해 보급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연간(2016년) 거세한우 도축마릿수인 35만 마리를 기준으로 약 228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 권응기 소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축산업에서도 유전체 정보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기술 적용이 요구되는 가운데 이 기술은 국내 최초로 한우 유전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정밀사양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우 고급육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 절감으로 한우고기 소비 확대 등 국내 한우산업이 처한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라이브뉴스>

?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