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한우·젖소 사료용 벼 급여사육시험 결과 발표
한우 일당증체량 증가·알파-토코페롤 함량 늘고 젖소 우유 생산량 증가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국내 최초로 ‘서울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종근 교수 팀-산청군기술센터’ 및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김현진 박사-당진낙협’과 공동으로 진행한 한우와 젖소의 사료용 벼 급여 사육시험에서 사료용 벼의 효과를 확인했다.
사료용 벼는 쌀 수급 안정 및 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위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작목이다. 그러나 실제 가축에게 먹였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된 바가 없어, 그 효과에 대한 재배·축산 농가의 의문 및 문의가 있어져 온 것에 대한 해답을 내놨다.
‘신토불이’. 우리 소에게도 우리땅에서 자란 사료용 벼가 체중이 늘거나 일당증체량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사료용 벼 ‘영우’ 품종이 포함된 섬유질배합사료[TMR(Total Mixed Ration), 가축이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영양소를 한데 섞어 만든 사료]를 먹였을 때 수입 조사료가 포함된 사료를 먹인 대조구에 비해 한우는 체중이 5%, 일당증체량(하루 동안 증가된 체중)이 18% 증가했으며, 기능성분인 알파-토코페롤 함량이 1.8배 높았다.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10%, 임신율이 17% 늘었으며, 체세포수가 2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시험 결과로 농가는 안심하고 사료용 벼를 재배 및 이용해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됐으며, 국민은 고품질의 한우와 우유를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 사육 시험은 약 30개월간 경남 산청 농가에서 진행됐으며, 평균 8.5개월 된 한우 송아지를 대조구와 급여구로 각 8두씩 나눠 체중, 일당증체량, 육질·육량비율 및 기능성분을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급여구의 체중이 39㎏(726kg→765kg), 일당증체량이 0.12kg(0.66㎏→0.78kg) 증가했다. 1등급 이상 육질등급 비율은 급여구가 75%로 거세우 전국 평균 88.1%보다는 낮았지만, B등급 이상 육량등급(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의 중량을 측정)의 비율은 75%로 거세우 전국 평균 65.6%보다 높았다.
채끝 부위에 함유된 기능성분인 알파-토코페롤 함량은 100g당 53.5μg으로 대조구 28.9μg보다 1.8배 높아 산화 억제로 인한 고기의 갈변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젖소 사육시험은 약 9개월간 충남 당진낙농축협 시범농가 2개소에서 진행됐으며, 젖소 54두에게 사료용 벼 ‘목양’이 4% 포함된 사료를 급여해 우유 생산량 및 임신율, 체세포수를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급여 전에 비해 하루 평균 우유 생산량이 2.7kg(27.7kg→30.4kg), 임신율이 17%(49.7%→67.1%) 증가했으며, 특히 젖소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원유의 위생등급 기준인 체세포수가 평균 27.7% 감소한 149(천cell/㎖)로 나타나 1등급 우유의 체세포수 기준(20만 미만)을 충족시켰다.
외화 절감 효과 및 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한우의 경우 하루에 두당 15㎏의 섬유질배합사료를 먹일 때 이 중 사료용 벼가 15% 포함된 섬유질배합사료로 바꿀 경우 15%에 해당하는 2.25㎏의 수입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으며 24개월 급여 시에는 1.6톤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
2019년 논 타작물 재배 면적 목표인 5만ha에서 사료용 벼를 재배하면 약 50만 톤의 양질 조사료가 생산되어 2017년 기준 수입되는 조사료 103만8천 톤의 48%를 대체할 수 있으며 약 1,700억 원의 외화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7년 82%인 국내조사료 자급률을 91%까지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안억근 농업연구사는 “이번 연구는 앞으로 사료용 벼 보급 및 확대의 기반이 될 것이며 쌀 수급조절 효과와 수입사료 대체를 통한 조사료 자급률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라며, “앞으로 수량성, 발효적성, 간척지 적응성 등이 향상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 사료용 벼의 가치를 높이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라이브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