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산업 주요 현안, 치밀한 논리로 선제적 대응"
전국한우협회 내 한우정책연구소가 지난달 31일 연구소 설립·운영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이에 계재철 한우정책연구소장을 만나 한우산업에 대한 생각과 향후 계획 등을 들어봤다.
체계적·논리적인 대응 필요
계 소장은 1984년 강원도 화천군에서 축산직 7급 공무원으로 활동을 시작해 30년이 넘게 축산 업무를 맡아온 이 분야의 전문가다. 특히 한우 관련 업무는 1989년부터 지난해 강원도 농정국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한 번도 손을 놓아본 적이 없다.
그런 그가 한우산업의 발전을 위해 좀 더 헌신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히며 지난 2월 한우정책연구소의 소장으로 자리했다. 처음 연구소에 들어와 외부인의 시각으로 한우산업과 한우협회를 바라본 소감은 어땠을까.
“강원도에서 일할 땐 한우협회의 역할을 잘 몰랐어요. 근데 와서 보니 진행하는 사업이 엄청 많더라고요. 한우와 조금이라도 관련된 것이라면 뭐든 관여하다보니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이론과 논거의 뒷받침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계 소장은 지금까지 한우산업의 중요 현안에 대해 설득력과 합리성을 갖춘 치밀한 대응이 부족했고, 이런 이유로 중요한 목소리가 정책이나 해결방안의 도출로 이어지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이런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 한우정책연구소가 한우산업을 위협하는 현안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논리를 개발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산재된 자료 가공·활용, 정책 제안
한우정책연구소가 내세운 연구소 설립·운영 기본계획에는 송아지 생산안정제 개선, 비육우 생산안정제 도입 등의 내용을 담은 한우산업육성법 추진 계획이 담겼다.
또한 선제적 수급조절, 통계·자료·기록물의 체계적 수집·관리·제공, 대학교수와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한우정책 네트워크의 구성 등도 단기·중장기 기본과제로 설정됐다. 하지만 일각에선 한우정책연구소가 계획한 업무들의 성격이 기존에 한우협회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해오던 업무와 큰 차이점이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에 대해 계 소장은 “협회나 자조금과 일부 업무가 중복될 순 있다”면서도 “협회가 직접 전쟁터에 나서는 군인이라면 연구소는 실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까지 아무리 좋은 자료들이 있어도 정책화할 수 있는 조직이 없었다”며 “한우정책연구소가 산재돼 있는 자료를 가공해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논리를 갖춘 정책 제안을 해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에게 사랑받는 축산업 되길
“우리나라 한우산업이 네덜란드나 독일처럼 나아가길 바랍니다.”
계 소장은 한우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묻는 질문에 네덜란드와 독일의 사례를 들었다. 그는 강원도청에서 근무하며 해외 연수차 네덜란드를 방문했을 때의 경험이 굉장히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공항에 도착하니 아침부터 돼지 분뇨 냄새가 나더라고요. ‘어떻게 한 나라의 수도에서 이런 냄새가 날 수 있을까’ 의아해 가이드를 대동해 호텔 매니저에게 물었죠. 그랬더니 ‘저들(양돈농가)이 우리 경제를 살리고 많은 기여를 했다. 양돈산업은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산업이다’고 말하더라고요.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기분이었습니다.”
축산물은 좋아하면서도 사육 현장은 기피하는 우리의 현실과 너무나도 차이가 컸기 때문이다.
그는 “독일에서도 밭에 축산분뇨를 뿌리는 날이 있고, 국민들이 이를 불만 없이 수용한다”며 “우리 축산업도 국민들과의 신뢰를 돈독히 쌓고 인심을 얻어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축산업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농수축산신문 이문예 기자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