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이름 | 날짜 |
---|---|---|
간추린 축우 뉴스 (12/16 ~ 12/22) | 파우스15778307 | 2019.12.24 |
간추린 축우 뉴스 (12/9 ~ 12/15) | 2019.12.24 | |
한우마당11월호 1 | 2019.12.19 | |
간추린 축우 뉴스 (12/2 ~ 12/8) | 파우스15778307 | 2019.12.10 |
한우 백신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2019.12.06 | |
우리나라 전통 한우 2 | 2019.11.07 | |
구현고등학교 학생입니다. '한우 먹는 날' 행사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1 | 허제민 | 2019.11.05 |
구현고 '청소년 한우 맛 체험' 행사에 감사드립니다. 1 | 2019.11.04 | |
아니 수능 1주일 남았는데 가정집 근처에서 축제를 하나요?? 1 | 2019.10.31 | |
올해는 살곶이 공원 한우 축제 안하나요? 1 | 2019.10.23 |
안녕하십니까? 전국한우협회 한우정책연구소 한민수 책임연구원입니다.
서정수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칡소(얼룩소) 혹은 흑우(검은소)에 대한 내용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보도자료("일제강점기에 사라져간 재래한우", '08. 12. 8)를 보면 비교적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보도자료에는, “우리나라 한우의 모계는 25종 이상으로 분류되며 칡소의 모계는 12종, 흑우는 9종, 제주흑우는 5종이상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제주흑우는 내륙에 있는 한우 흑우 칡소에서 볼 수 없는 모계도 2종 존재하며 유전자원으로서 매우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조창연 연구사의 설명이 있습니다.
2천년 이상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던 한우가 지금과 같은 황색의 모색으로 통일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38년도에 제정된 심사표준에서 “한우의 모색을 적갈색으로 한다.” 는 규정에 의하여 모색을 통일 시키면서 다양한 모색의 한우가 우리 땅에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2000년대 들어 농촌진흥청이 추진한 "가축유전자원 발굴보존 프로젝트"의 첫 대상으로 일제강점기에 사라져간 재래한우를 발굴하여 증식 보존하게 된 것입니다.
"멸종위험 '칡소' 강원도 948두로 전국 최다 사육(파이넨셜뉴스, '19. 8. 16.)" 기사에 의하면, 강원도 관내 사육 칡소 두수가 총 948두로 전국에서 사육중인 칡소의 24.9%를 차지하여 전국 최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고성군 392두, 철원군 293두, 횡성군 111두, 평창군 56두, 양양군 46두, 원주시 30두, 기타 시군 20두).
강원도축산연구소는 칡소 유전자원 보전사업을 1994년부터 진행하여, 현재 103두를 보존·관리중이며, 칡소 씨수소에서 생산한 정액과 우량암소에서 생산한 수정란을 도내 칡소 농가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충청북도 음성군, 옥천군, 경상북도 울릉군 등지에서 칡소가 사육중입니다.
*.칡소(얼룩소) 사진. 출처: 강원도청
아울러 흑우(검정소)는 제주도에서 주로 사육되고 있으며, 제주도는 흑우의 보존 증식과 더불어 브랜드화, 산업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흑우는 2013년에 천연기념물 54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흑우 사진
답변 내용이 서정수님께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