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식품부가 2006년에 국제수역사무국에 등급신청을 했다가 포기한 이유를 한우협회는 알고 있습니까? 일본, 호주가 1등급, 미국이 2등급인데, 한국은 몇등급을 원했길래, 신청했다가 포기를 한겁니까? 아는 사람 이야기 좀 해보세요. 우리 국민들이 먹는 고기가 몇등급인지는 알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무등급입니다. 무등급. 등급이 없다고요. 이번에 재신청 한다고 하죠? 몇등급이나 나올지 기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디 1등급은 나와주기를 기대합니다.
2008.05.13 12:00
자신있으면 1등급 판정 받아오지 그랬어요?
조회 수 273 추천 수 0 댓글 2
-
?
OIE 에 등급신청을 할려면 광우병검사를 최소한 30만두를 해야 광우병통제국가로 인정한다는 규정 때문에 정부에서는 한해에 한우,육우 도축두수가 60만두정도이고, 필요성도 할필요도 없었기때문에 등급신청을 하지않은것이지 한우가 등급이 안나올까봐 겁나서 신청하지않은것은 아니니 염려놓으십시요?
-
?
말로 염려를 놓으라고 하지 말고, 할 필요성, 할 필요도 없다는 말로 염려를 놓으라고 하지 말고, 국민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라 말입니다. 그 근거가 국제수역사무국에서 인정하는 등급이라 말입니다. 알겠습니까? 당신네들 양심에 기댄 댓가가 브루셀라병이 걸린 자신의 농장에서 소를 불법 도축해서 유통시키는 것이라 말입니다. 그 사람도 밖에서 이야기 할 때는 양심적으로 키운다. 안심하고 먹으라고 하지 않냐 말입니다. 절박이소를 유통시키는 사람들도 그딴식의 이야기를 하더니. 쳇.
제목 | 이름 | 날짜 |
---|---|---|
한우는 과연 안전한가? 4 | 성원엄마 | 2008.05.13 |
자신있으면 1등급 판정 받아오지 그랬어요? 2 | 진충보국 | 2008.05.13 |
진충보국 보그라 4 | 한량 | 2008.05.13 |
한우 산업 발전 정책 제(안) 1 | 조흥래 | 2008.05.13 |
우리 한우 검역을 일본에 맡기는건 어떨까요? 1 | 진충보국 | 2008.05.13 |
광우병의 위험성과, 전염도. | 진충보국 | 2008.05.13 |
한우협회가 무슨양심을 속였다고 ? 3 | KOINA06 | 2008.05.12 |
브루셀라병 감염사례. 치료가 안되는 질병이군요. 1 | 진충보국 | 2008.05.11 |
이게 우리 한우협회의 주소죠? 2 | 진충보국 | 2008.05.11 |
한우협회의 양심고백을 촉구합니다. 1 | 진충보국 | 200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