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거세한우 잘 키우는 최고의 기술은?

 6~7개월령 거세, 섬유질배합사료 먹여 사료비 부담 덜어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한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수준이 높은 거세우 사육 선도 농가를 소개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과 지역 축협은 전국 상위 농가(15개)1)와 지역 상위 농가2)(74개)를 포함한 89농가를 방문 조사했다. 선도 농가는 일반 현황, 비육 기술, 생산비 절감 기술 등을 평가해 선정했다.


선도 농가는 출하 시 체중이 전국 평균보다 많고 시기도 빨랐다.


선도 농가의 거세우는 774.9∼789.3kg로, 전국 평균인 745kg보다 무거웠다. 29.7~30.4개월령에 출하되고 있어 31.4개월령인 전국 평균보다 빨랐다. 수송아지는 주로 6~7개월령에 거세했다. 구입한 송아지는 8~9개월령에 거세했는데, 이는 경매 시장의 거래 환경 때문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육성기는 6~9개월령, 비육전기 13.9~14.3개월령, 비육후기는 23개월령부터로 비육 단계를 설정했다.
사료 주는 방법도 달랐다. 선도 농가의 50%(44농가)는 섬유질배합사료(TMR)를 먹였다. 전국의 상위권 농가 60%는 TMR을 먹이고 있었다.


출하 성적이 좋을수록 TMR 비율이 높았는데, 전체 사육 기간 중 육성기부터 비육전기까지 먹이는 농가가 많았다.
 

TMR 비율이 높은 전국 상위 농가에서 거세우 한 마리를 키우는 데 드는 사료비는 305만 원으로, 320만 원이 드는 지역 상위 농가보다 적었다.


이와 함께 대상 농가 대부분은 일관사육3)을 하며, 거세우 비율은 52~58.8%였다.


번식우를 키워 밑소4)를 공급하고, 3개월령에 이유(젖떼기)를 한다. 농가의 80% 이상이 육질 개선과 비육 촉진을 이유로 첨가제5)를 사용했다. 송아지 가격 부담으로 번식우로 자가 생산을 확대하려는 농가도 많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만희 한우연구소장은 "높은 도체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육성기부터 등지방을 얇게 사육하고, 비육후기에는 농후사료를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한다."라고 강조했다.

 

[참고자료] 거세한우 선도 농가 조사 결과
--------------------------
1) 2017년 거세우 출하 농가 100위 이내 농가의 육질 1+등급 출현율은 95.7%. 그 중 15곳.
2) 지역 축협에서 추천한 우수 농가 74곳.
3) 비육용 송아지 생산을 위해 번식과 비육우 사육을 병행하는 사육형태
4) 비육우로 사육하기 위해 선발된 송아지
5) 생균제, 비타민제, 아미노산제제 등 사용
[문의]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장 한만희, 장선식 연구사 033-330-0693

 

출처: 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35846

?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