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축분뇨 정책 ‘다각화’선회…여건 따라 탄력적으로

  •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공동자원화시설 정화·고체연료시설 지원 ‘신호탄’

 

자원화 일색이었던 정부의 가축분뇨 정책이 선회하고 있다.

 

지역이나 양축현장 상황을 고려한 가축분뇨 처리방법의 다각화를 도모하고 나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가축분뇨 처리 지원사업 지침을 변경, 공동자원화시설 지원 대상에 정제액비 및 정화 재이용수 처리 등 정화시설과 고체연료 생산시설도 새로이 포함시켰다.

 

일단 기존 공동자원화시설의 개보수 사례에 한해 시범적으로 실시해 보겠다는 계획이지만 퇴액비 시설에만 정부 지원을 국한해 왔던 이전 방침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 뿐 만이 아니다. 농식품부는 공동자원화시설에 대해 별도의 정화방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의해 나간다는 방침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의 정화방류 기준은 충족키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아울러 대규모 사육농장들이 선호하는 정화방류 활성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축산업계에서는 이에 대해 자원화 일변도의 가축분뇨 처리 정책에 일대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은 상황. 농식품부도 굳이 부인하지 않고 있다.

 

‘자원화’ 기조는 유지하면서도 현실을 감안한 탄력적인 가축분뇨 처리대책을 병행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정경석 과장은 “기후변화와 함께 농촌지역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퇴액비 수요처가 감소하는 추세에 주목하고 있다”며 “자원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양축현장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축분뇨 처리방안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게 농식품부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지역 특성에 따라 액비 살포가 힘든 경우 정화방류를 유도하고 퇴비 역시 고체연료화 등을 통해 다양한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농식품부의 이같은 방침에 축산업계도 크게 환영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 조진현 상무는 “액비를 뿌릴 곳이 없는 농가들은 자원화를 하고 싶어도 불가능하다. 더구나 민원의 상당수가 액비살포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데다 탄소중립을 요구하는 시대적 추세 등을 감안, 그동안 축산단체에서 다양한 가축분뇨 처리방안 활성화를 건의해 왔다”며  “정화처리를 희망하는 개별처리 농가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현장 행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238973

?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